구글 애널리틱스는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사용자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수집합니다.
메뉴의 [보고서]-[실시간]을 클릭합니다.
이벤트 이름 | 이벤트 수 | 내용 |
first_visit | 1 | 첫 방문 |
page_view | 1 | 페이지 조회 |
scroll | 1 | 페이지의 90% 스크롤 |
session_start | 1 | 세션을 시작함 |
위 표는 구글 애널리틱스가 수집한 이벤트 정보로 첫 방문(first_visit), 페이지 조회(page_view), 페이지 스크롤(scroll), 세션을 시작(session_start)하는 정보가 수집됩니다.
구글 애널리틱스의 보고서를 통해 우리는 여러 가지 보고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구분1 | 구분2 | 내용 |
보고서 개요 | 서비스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합니다. | |
실시간 | 서비스의 실시간 현황을 파악합니다. | |
사용자 | 인구통계 | 사용자의 관심 분야, 연령 등을 파악합니다. |
기술 | 사용자의 운영체제, 기기 등을 파악합니다. | |
수명 주기 | 획득 | 사용자의 유입을 파악합니다. |
참여도 | 사용자의 행동을 파악합니다. | |
수익 창출 | 서비스의 수익 현황을 파악합니다. | |
유지 | 서비스의 유지 현황을 파악합니다. |
사용자가 어디에서 유입됐는지, 사용자가 어떠한 행동을 하고 있는지와 같은 데이터를 말합니다. 구글 애널리틱스는 수집한 데이터를 확인하기 쉽도록 위 표와 같이 주제로 구분하여 여러 가지 보고서를 제공합니다. 우리는 분석의 주제에 맞는 보고서를 선택하여 확인하면 되는 것입니다. 만약 사용자 행동 파악이 필요하다면 참여도 보고서를 활용하면 될 것입니다.
보고서 조작하기
보고서 조작 방법은 대부분 비슷합니다. 그중 대표적으로 활용되는 '이벤트 보고서'를 주제로 설명하며 이번 챕터만 잘 익혀두면 애널리틱스 보고서를 쉽게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.
이벤트 보고서란 사용자의 행동에 대한 자세한 데이터를 확인하는 보고서입니다.
①일정 조작
②더 많은 데이터 표시
③보고서 상단 시각화 확인하기
보고서 상단에는 각 보고서의 주제 데이터 시각화가 표시됩니다.
시각화 그래프에 마우스를 올려보면 마우스가 올라가 있는 영역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④측정기준 변경하기
메뉴의 [참여도]-[페이지 및 화면]을 클릭합니다.
'페이지 제목 및 화면 클래스 보고서'는 사용자가 어떤 페이지를 얼마나 봤는지 확인하는 보고서입니다. 사용자들이 메인 페이지를 495회 봤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마우스를 올려두면 '웹페이지 제목 및 기본 앱 회면 클래스 입니다.' 라는 설명 문구가 표기됩니다. 애널리틱스를 사용할 때 모르는 용어가 나타난다면 우선 마우스를 올려두시기 바랍니다. 설명을 바탕으로 데이터 분석 진행이 가능할 것입니다.
'페이지 경로+ 쿼리 문자열 및 화면 클래스'를 클릭하면 페이지 경로(URL)를 기준으로 표시됩니다.
'페이지 경로+ 쿼리 문자열 및 화면 클래스'의 오른쪽 끝에 파란색 + 버튼을 클릭하면 보조 측정기준을 추가하여 데이터를 더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
기본 측정 기준과 보조 측정기준을 활용하여 데이터 확인도 가능합니다. [기기]-[브라우저]를 선택하겠습니다.
이제 페이지 경로(기본 측정)과 브라우저(보조 측정)로 나누어 데이터 확인이 가능합니다. 기본 측정 기준과 보조 측정 기준은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데이터가 달라지게 됩니다.
⑤ 비교 일정 적용
일정 선택기를 표시한 뒤 비교를 클릭하여 맞춤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.
데이터 비교 일정을 적용하여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구글 애널리틱스는 비교 일정 설정에 '요일 일치'라는 옵션도 제공합니다. 월요일인 오늘을 작년과 비교할 때 작년이 월요일이 아니라면 데이터 비교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입니다. 따라서 데이터 비교 분석에서 '요일'이 중요한 요소라면 '요일 일치'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
'기획자 > 마케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구글 애널리틱스 입문하기 (0) | 2022.04.20 |
---|